[1번지현장] 유기홍 국회 교육위원장에게 듣는 '만 5세 입학'<br /><br /><br />정부가 초등학교 입학 나이를 만 6세에서 만 5세로 낮추는 방안을 전격 발표하면서 찬반 논란이 뜨겁습니다.<br /><br />뉴스1번지 오늘은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유기홍 의원과 함께 합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초등학교 입학 연령을 만 6세에서 만 5세로 낮춘다. 윤 대통령의 대선 공약, 국정과제에도 없던 정책이고, 사전 예고도 없었기 때문에 갑작스럽다는 반응이 많은데요. 정부가 발표한 학제 개편안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유기홍 의원께서는 국회에서 줄곧 교육위에 계셨습니다. 자타공인 교육 정책 전문가, 교육위원장으로서 입학 연령을 하향하는 것에 대해서 가장 우려되는 점, 부작용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입학 연령 하향의 긍정적인 측면은 없을까요? 박순애 교육부장관은 "교육격차 해소, 공정한 기회 보장"을 얘기했고요, 일각에서는 "저출산, 고령화 대책이 될 수 있다"는 얘기도 나오는데요.<br /><br /> 학제 개편을 하려면 국회에서 초중등교육법 개정이 필요합니다. 민주당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얘긴데요. 민주당은 어떤 입장이십니까?<br /><br /> 그런데, 취학연령 하향을 비롯한 학제개편 얘기는 과거 진보, 보수 정부 할 것 없이 계속 나왔고, 번번이 실패했거든요. 근본적인 문제를 뭐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정부는 대규모 여론조사를 통해 여론을 수렴하고, 향후 출범할 국가교육위원회를 통해 학제 개편 방안을 논의한다고 했는데요. 앞으로 논의는 어떻게 이뤄져야 한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유기홍 위원장께서 국가의 중장기 교육정책을 담당할 국가교육위원회 설립법을 대표 발의하신 걸로 알고 있는데요. 국가교육위원회 출범이 연기가 됐습니다. 무슨 이유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교육부의 대통령 업무보고 일정이 하루 사이에 돌연 연기에서 예정대로 진행되는 것으로 오락가락 했고요. 학제 개편안도 공론화 과정 없이 발표돼 비판을 받으면서 교육부의 위상이 떨어졌다, 박순애 장관의 리더십이 불안한 것 아니냐, 이런 얘기가 나오는데요. 교육위원장으로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?<br /><br /> 윤 대통령의 교육 정책에 대해서는 어떻게 평가하십니까?<br /><br /> 마지막으로 민주당 얘기도 좀 해보겠습니다. '어대명' 분위기 속에서 이재명 의원의 사법리스크, 말실수가 계속 되고 있는데요. 당 중진으로서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